리눅스 커널을 공부하기 위해 가장 단순한 빌드부터 해보도록 합니다.
환경은 윈도우 버추얼 박스에 설치된 우분투 24.04 입니다
소스 코드 다운 받기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다면 아래 명령으로 바로 다운받고 아니면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습니다.
curl -O https://cdn.kernel.org/pub/linux/kernel/v6.x/linux-6.13.2.tar.xz
커널 다운로드 페이지 : https://www.kernel.org
빌드
커널 빌드를 위해 필요한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합니다.
sudo apt install flex
sudo apt install bison
sudo apt install libssl-dev
sudo apt install libelf-dev
그 후에는 빌드 설정을 위해 아래 명령을 실행합니다.
make menuconfig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만약 "Your display is too small to run Menuconfig! It must be at least 19 lines by 80 columns." 이란 에러메시지가 나온다면
단순히 콘솔 창 크기를 키워 준 후에 다시 실행하면 됩니다.
빌드 전에 커널옵션에서 몇 가지 설정을 해제할 필요가 있습니다.
./scripts/config --disable SYSTEM_TRUSTED_KEYS
./scripts/config --disable CONFIG_SYSTEM_REVOCATION_KEYS
그 후 커널 빌드는 make 명령어로 합니다.
mrproper와 localyesconfig는 디렉토리 정리와 설정 생성을 합니다.
'inat_primary_table' undeclared 나 'inat_escape_tables' undeclared 같은 에러를 없애기 위해 사용했습니다.
make mrproper
make localyesconfig
make -j $(nproc)
Kernel: arch/x86/boot/bzImage is ready (#1) 라는 메시지로 커널 이미지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커널 이미지 설치하기
sudo make install
위 명령어로 빌드한 커널 이미지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vmlinuz-6.13.2 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제 사용하기 전에 관련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사용해야할 것 같습니다.
'학습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커널 모듈 설치와 에러 해결 방법 (0) | 2025.02.18 |
---|---|
우분투 개발환경 커스터마이징 (0) | 2025.01.25 |
버추얼박스로 우분투를 백그라운드 실행하기 (0) | 2025.01.25 |
윈도우에 원격접속 가능한 우분투 개발환경 만들기 (1) | 2025.01.25 |
우분투 18.04 세팅 (0) | 2018.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