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블완 5

벌크업 1주일 차 기록

지난 포스팅 이후 진행상황에 대해 기록하려고 합니다.https://roquen4145.tistory.com/284 운동방향 중간점검코로나가 끝나고 회사 헬스장 등록대기가 끝난 이후에 계속해서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자주 운동을 하는 것에 비해 결과가 그렇게 만족스럽지 않은 상태인데요.그래서 그동안의 운동 방roquen4145.tistory.com집에 있는 앳플리 체중계 기록과 회사 헬스장의 인바디 기록을 보면정말 성공적으로 진행 중에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선 FatSecret이라는 앱을 깔아서 식단을 기록하고 있고식단을 기록하니까 의도적으로 많이 먹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운동을 아침 공복시간대에서 오후 5시로 옮기고근육을 쓴다는 느낌을 가지고 하니까고중량으로도 생기지 않았던 근육통이 생..

블로그/운동 2024.11.14

생산성을 높이는 할 일 관리 앱에 알림 추가하기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알림 추가하기 입니다.사실은 아직 이전 포스팅에서 계획 했던 일들을 다 끝내지 못했어요.https://roquen4145.tistory.com/283 생산성을 높이는 할 일 관리 앱에 Daily Streak 추가하기지난 포스팅에서는 뽀모도로 타이머까지 추가했습니다.https://roquen4145.tistory.com/282 생산성을 높이는 할 일 관리 앱에 뽀모도로 타이머 추가하기https://roquen4145.tistory.com/279 생산성을 높이는 할 일roquen4145.tistory.com바쁘다면 바쁜 일상을 보냈지만 그래도 아무 것도 안 하고 넘어간 날이 많습니다.Daily Streak가 있어야 하루에 하나라도 하는데 아직 없어서 못 했다는 변명을 할 수 밖에 없네요..

Taskfile을 이용하여 go lang 빌드하기

왜 Taskfile을 사용할까?프로젝트에서 go lang을 쓰고 있는데 Taskfile과 함께 사용하고 있습니다.왜 Taskfile이 도입되었는지 정리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이 글을 작성합니다.제가 Taskfile을 사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빌드 환경 세팅리소스파일 (config, log 등)의 설치 및 초기화프로세스 추상화빌드환경 세팅고정된 환경에서 개발을 하는 경우에는 고려할 필요가 없지만여러 명이 다양한 환경에서 개발을 하는 상황에서는 빌드 환경 세팅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라이브러리 의존성을 해결해야하고 라이브러리 레지스트리를 설정해야하는데Taskfile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할 수 있었습니다. 리소스파일 설치 및 초기화또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go lang으로 빌드되는 바이너리 이외의리소스..

학습/go 2024.11.11

머신러닝 찍먹하기

오늘은 머신러닝에 대해서 정리하는 포스팅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최근 4주짜리 머신러닝 교육을 받았는데 거기서 배운 것들을 정리하는 형식이 되겠습니다.머신러닝을 시작해보려고 하는 개발자나 우리 부서도 머신러닝을 도입해봐야 되지 않나 싶은 리더들이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머신러닝 용어 정리머신러닝 관련된 여러 가지 용어들이 있어서 헷갈리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머신러닝과 인공지능, 그리고 딥러닝이 그 주인공인데요.세 가지 용어의 포함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인공지능 > 머신러닝 > 딥러닝 인공지능은 규칙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을 뜻하고머신러닝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을 뜻하며딥러닝은 인공 신경망 기반으로 동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머신러닝으로 할 수 있는 것머신러닝이라면 모든 것을 해줄 수 있을 거..

학습/머신러닝 2024.11.08

처음 CI/CD를 마주한 당신에게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CI 구축업무를 받았을 때 고려했던 내용들에 대해서 공유합니다.신입사원 때 했던 내용을 적는 것이라서 부족한 점이 있으면 양해 부탁드립니다.CI (Continuous Integration)CI는 Continuous Integration의 약자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코드를 유지하기 위한 작업들을 말합니다.거의 모든 개발자들은 협업을 위해 git 같은 형상관리툴을 사용할텐데main branch의 최신 커밋이 정상동작하지 않으면 공동 작업자들이 모두 제대로 된 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프로젝트 진행에 있어서 코드 개발과 같은 수준으로 중요도를 갖는다고 생각합니다.CI와 테스트정상 동작하는 코드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개발자들은 테스트로 자신의 코드를 검증하고 반영하기를 기대받습니다.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