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페이지를 사람들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서버가 될 컴퓨터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우분투 12.04 를 사용하였다.
1. 아마존 웹서비스 EC2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Xshell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EC2 인스턴스에 접속하도록 한다.
IP 설정을 하기 전에는 호스트 입력란에 EC2 인스턴스 정보 중 Public DNS를 입력한다.
Public Key는 EC2 인스턴스를 만들 때 다운로드한 키를 사용한다.
1. sudo su
사용자의 권한을 root로 변경시킨다.
2. apt-get update
패키지 인덱스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고 한다.
마켓의 목록을 업데이트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될 것 같다.
3. apt-get install apache2
웹 서버를 설치한다.
4. apt-get install php5 php5-mysql
동적 웹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프로그램 언어인 PHP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5. wget http://ko.wordpress.org/wordpress-3.8.1-ko_KR.tar.gz
미국에서 1/6 이 사용한다는, 블로그나 홈페이지를 만들기 쉽다는 플랫폼인 워드프레스를 다운로드한다.
6. tar -xzvf wordpress-3.8.1-ko_KR.tar.gz
압축을 푼다.
7. mv wordpress/* /var/www/
압축을 푼 파일들을 /var/www/ 디렉토리에 옮긴다.
리눅스에서 아파치를 설치하면 /var/www/ 디렉토리가 생기는데 여기에 있는 index.html을 수정하면 인터넷 주소창에 localhost를 입력했을 떄 그 결과값이 보인다. 워드프레스를 넣는다면 그것도 로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추가예정
'학습 >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4.10 패널만 보이는 현상 - Ubuntu Tweak설정 (0) | 2015.04.09 |
---|---|
우분투 커스터마이징을 위한 사이트 정리 (0) | 2015.04.08 |
cafe24 nodejs를 위한 리눅스 세팅 - mysql 활용 (0) | 2015.04.08 |
cafe24 nodejs를 위한 리눅스 세팅 - 기본 (0) | 2015.04.06 |
리눅스 세팅 (0) | 2015.04.03 |